1) 일반적 절차
ㅇ 연구문제의 선정 및 가설설정
  - 연구주제, 연구목적, 연구의 실제적 및 이론적 중요성에 대한 분명한 인식이 필요.
  - 연구문제의 source: 평소의 관심, 여론에 의한 부각, 이론에 대한 검증
  - 연구목적: 탐색, 기술, 설명?
        . 탐색적(exploratory) 조사연구: 조사의 주목적이 좀더 정확한 조사를 위한 연구문제를 형성하거나 가설을 개발하는 것. 
        . 기술적(descriptive) 조사연구: 조사의 주목적은 현상에 대한 정확한 기술.
        . 설명적(explanatory) 조사연구: 기술적 조사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어떠한 사실과 사실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인과관계를 규명하거나, 이러한 인과관계를 토대로 미래를 예측하는 조사.
  - 가설의 설정: 연구의 기본적 모형의 작성.
ㅇ 연구대상의 선정
  - 연구의 분석단위(unit of analysis)에 대한 결정
  - 시간적 범위(time frame)에 대한 결정
  - 공간적 범위에 대한 결정
ㅇ 조사설계(research design)의 선택
  - 조사설계란 장차 경험적 조사연구의 전반적인 틀.  즉, 연구대상과 표본추출방법, 주요 변수의 개념화와 조작화, 자료수집과 분석방법
ㅇ 개념화 및 조작화
  - 개념적 정의 conceptual framework
  - 조작적 정의 analytical framework
ㅇ 자료수집
  - 1차 자료: 연구자가 현재 연구목적을 위해서 직접 수집한 자료. 서베이. 설문조사. 면접, 관찰 등에 의해 수집한 자료.
  - 2차 자료: 1차 자료 이외의 모든 자료. 정부기관이나 조사기관에서 발간한 간행물, 통계자료집, 논문 등에서 수집한 자료 등등.
  - 자료의 정리: 분석이 용이하게 될 수 있도록 편집, 분류, 코딩처리.
ㅇ 자료분석
  -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고 해석하여 경험적인 자료가 연구문제 및 가설과 부합되는지 평가.
ㅇ 자료해석 및 보고서 작성
  - 분석결과에 대한 해석(interpretation)

2) 연구의 분석단위
ㅇ 의미: 연구자가 그 속성 또는 특징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고, 기술․설명하고자 하는 사람이나 사물.
ㅇ 분석단위의 분류
  - 개인
  - 집단
  - 프로그램
  - 조직 또는 제도
  - 지역사회, 지방정부, 국가
  - 사회적 생성물
ㅇ 분석단위의 선택의 중요성
  - 결혼과 결혼당사자, 범죄와 범죄자, 행정기관과 행정기관의 대표자는 서로 다른 분석단위
  - 가장 많이 사용되는 분석단위는 개인. 다음으로 집단 또는 조직, 시․군, 국가 순.
ㅇ 분석단위의 선정과 해석의 오류
  - 생태적 오류: 어떤 분석단위(주로 집단을 포함한 집합적 단위)를 채택하여 연구한 결과 얻은 결론을 다른 수준의 분석단위(주로 개인등의 하위단위)에 적용시키는 오류.
  - 환원주의적 오류:
        a. 개인을 분석단위로 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집단, 사회, 또는 국가의 특성을 추론할 때에 발생(개체주의적 오류)
        b. 넓은 범위의 인간의 사회적 행위를 이해하는 데 필요한 변수 또는 개념의 종류를 지나치게 한정시키거나 한 가지로 환원시키려는 경향

3) 연구의 시간적 범위(time frame)
ㅇ 횡단면적 연구(cross-sectional study)
  - 일정시점에서 다수의 분석단위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는 연구
ㅇ 종단면적 연구(longitudinal study): 두 번 이상의 시점에서 분석단위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는 연구. 표본수 확보가 관건(at least 30).
  - 시계열연구(time-series study): 인구센서스, 물가동향조사.  어떤 광범위한 연구대상의 특정속성을 여러 시기를 두고 관찰․비교하는 것.
  - 동시경험집단연구(cohort study): 특정경험을 같이 하는 사람들(예컨대, 동기생)이 갖는 특성에 대해 두 번 이상의 다른 시기에 걸쳐서 비교 연구하는 것.
  - 동일집단반복연구(panel study): 한번 조사된 사람들을 여러 차례 반복 조사.
ㅇ 통합시계열연구(pooled cross-section and time-series)

4) 연구계획서의 작성
ㅇ 연구계획서에 대한 판단 기준
  - 연구계획서가 연구문제에 대한 해답을 얻을 수 있도록 작성되었는가?
  - 연구계획서에 따르면 가설을 적절하게 검증할 수 있는가?
ㅇ 연구계획서의 활용
  - 연구계획서를 작성하는 과정에서 연구자로 하여금 설계의 많은 결함, 부적절성, 비일관성, 그리고 빠진 사항을 발견하게 한다.
  - 연구계획서는 연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잊기 쉬운 사항들을 순서대로 기억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 연구계획서는 많은 전문가의 조언과 비평을 받을 수 있는 참고자료가 된다.
5) 연구문제
ㅇ 연구문제의 의미
  - 연구는 연구문제를 설정하는데서 시작.
  - 연구결과의 질은 처음에 제기한 질문, 즉 연구문제에 좌우된다.
  - 연구문제는 연구주제에 대해서 일정한 정도의 지식을 갖고 있어야 제기할 수 있다.
ㅇ 연구문제의 진술
  - 의문문의 형태로 할 것.
  - 경험적인 연구가 가능한 형태로 진술할 것.

6) 연구문제의 원천
ㅇ 기존지식체제
ㅇ 사회적 요청
ㅇ 개인적 경험

7) 연구문제의 평가기준
ㅇ 학문적 기준
  - 연구문제가 학문적으로 의미가 있는지, 즉 학문발전에 공헌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는 기준.
  - 독창성(Originality)
  - 이론적 의의
  - 경험적 검증가능성(Testability)
ㅇ 실천적 기준
  - 연구결과가 현실세계에서 발생하는 실제문제의 해결에 얼마나 도움이 되는가를 판단하는 기준.
ㅇ 윤리적 기준
ㅇ 흥미유발

8) 연구문제의 형성과정
ㅇ 연구과제의 목표규정
ㅇ 연구주제를 일련의 질문으로 진술
ㅇ 각각의 해답을 토대로 가설 설정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