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례 개념화은 임상심리학, 임상연구등에서 쓰이는 용어입니다.
특히, 임상심리학의 심리치료과정에서는 사례개념화가 필수로 이뤄져야 하는 것으로 한마디로 가설설정과정에 해당합니다.
 
사례 개념화(case formulation, case conceptualization)란
= 내담자와 함께 떠나는 여행의 지도(목적지, 도로, 장애물)입니다.
 
내담자와 그의 문제를 이해하고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치료적 개입을 행하기 위해
내담자의 문제를 최대한 경제적으로 기술하고 설명할 수 있는 개념적 틀을 구축하는 과정으로서 사례 개념화는 초기에 끝나는 것이 아니라,
치료의 전과정을 통해 수정, 보완, 검증되어야 합니다.
 
 
사례 개념화의 필요성
 
1. 상담의 계획과 방향성을 유지하기 위해 필수적임
2. 각 상담시간간의 구체적인 목표와 초점을 유지할 수 있음.
3. 상담자에게 안정감과 자신감을 줄 수 있음
4. 상담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명확히 파악, 수정할 기회
5, 치료적 개입의 지점과 전략을 결정할 수 있음.
6. 내담자의 반응을 예상할 수 있음
7. 내담자가 자신의 문제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됨.
 
 
사례 개념화에 포함되는 내용( persons, 1998)
 
1) 문제목록
2) 이면 기제에 대한 가설
3) 문제 목록과 이면 기제의 관계
4) 현재 문제의 촉발요인
5) 중요 문제의 발달적 기원
6) 예상되는 방해물
 
두번째 사항의
이면 기제에 대한 가설(underlying Mechanism)
이면 기제는 문제목록(problem list)을 통틀어서 이해할 수 있는 것인데
이면 기제는 underlying의 의미를 떠올려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즉, 자동적 사고가 출현하도록 하는 기저의 역기능적 믿음을 의미합니다.
 
역기능적 믿음에  도달하려면
자동적 사고로부터 그 사고의 기저에 있는 핵심 믿음 내용을 계속 추적해 보아야 하는데
자동적 사고의 탐색기법과 하향 화살표기법을 이용합니다.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