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배경]
고대 그리스인들은 음악을 물리, 수학과 같은 과학의 한 분야로, 삶에 교윤을 주는 철학의 한 분야로, 그리고 생활 속에 즐거움을 주는 피타고라스 예술의 한 분야로 이해했다.
이 당시 대표철학가는 피타고라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인데 선법의 흐름을 이해하기 위해 그들의 음악 철학을 간략히 살펴보려한다.
 

피타고라스는 우주와 수의 관계를 연구한 학자인데, ‘음악을 별(우주)들의 조화’라고 생각했고 대장간을 지나던 중 대장간의 망치소리에 아이디어를 얻어 수학적으로 음향을 맞춰 음계를 만들었다. 이것이 바로 “피타고라스 음계”이며 서양음악의 “음”의 시초이기도 하다.
즉, 피타고라스는 음악의 리듬이나 음향의 이론이 수의 이론과 일치하고 이것은 우주의 질서나 조화와 연관된다는 것이다.
피타고라스의 음악과 수의 관계, 음악과 우주의 관계에 대한 이론은 플라톤에 의해 철학과 교육적 측면에서 이론화된다.  
 

플라톤은 음악이 조금만 그 질서로부터 벗어나도 인간의 정서를 타락시킬 수 있다고 믿었고, 이런 믿음을 근거로 하여 예술의 엄격한 검열과 제한을 주장했다. 플라톤이 인간에게 해로운 음악으로 지적한 요소는 “번잡한 음의 결합, 복잡한 음계들, 잡다한 리듬의 배합” 등 이다. 즉 여기서 이 당시 그리스 시대 음악철학은 단순한 리듬과 단순한 멜로디를 추구 하였음을 발견할 수 있다. 그러나, 플라톤의 생각은 그렇게 체계적인 것이 아니었고, 그의 제자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해 체계화된다.
 

플라톤이나 아리스토텔레스는 음악은 마땅히 아폴론적인 것이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그러나 아리스토텔레스는 음악에 내재하고 있는 오락성에 관해서도 긍정적인 입장을 취해, 음악의 예술성을 보다 폭넓게 인정하고 있었다.
 

음악에 있어 에토스 이론은 인간의 지성적인 면이 아닌 비지성적인 면(감성)을 습관을 통해 개선할 수 있다고 생각한 이론으로 ‘막강한 힘을 갖고 있는 음악은 인간의 성격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그것이 윤리적 가치를 가졌을 때만 허락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그 핵심이다. 즉, 에토스이론은 도덕과 윤리를 증진시키기 위한 목적의 이론이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에토스 이론]
아리스토텔레스는 그의 저서『정치학』에서 ‘음악은 이상적인 국가를 위해 반드시 교육해아 하는 중요한 과목 중 하나라고 강조‘하면서 구체적으로 특정한 선법이나 리듬의 영향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그러나 그는 ‘음악은 도덕적 성격 형성에 특별한 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 정신적 건강을 위한 유희적 기능도 있다.’고 말한다.
 

즉, 특정한 선법, 리듬의 영향을 언급한 것은 이상적인 국가를 위한 음악교육적 관점을 언급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음악에 대한 관점은 다음과 같다.
 
- 다 음 -
 (1) 음악의 목적은 교육에 있다.
 (2) 선법은 영혼에 아래와 같은 영향을 끼친다
 (3) 음악은 유쾌한 것이기 때문에 유쾌한 것을 견디지 못하는 청소년의 교육을 위해 사용되어야 한다.
 (4) 음악은 청년들을 ‘거리’로부터 멀리 하게 한다.
 (5) 관악기 아울로스는 난잡한 축제에 사용하는 것이기에 이 악기로 연주하는 것은 인간의 영혼에 아무런 작용을 하지 못한다.
 
 

선법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사상은 아헤네우스에 의해 체계적으로 정의되었다. 아헤네우스는 선법에 따라 인간의 감정은 달라지고 다양한 리듬형이나 악기의 음색도 각기 다른 감정을 가져온다고 주장했다. 아헤네우스의 선법에 대한 주장은 다음과 같다.

- 다 음 -
 ① 도리아선법 - 침착하고 냉정하여 활기찬 감정을 만든다
 ② 프리지아 선법 - 격렬하고 흥분된 감정을 만든다.
 ③ 리디아 선법 - 나약한 감정을 만든다.
 ④ 믹솔리디아 선법 - 슬프고 억제된 감정을 만든다.
 
총체적으로 고대 그리스 철학자들의 에토스 이론을 결정하는 음악요소는 선법, 리듬, 악기 등이다. 따라서 도덕적인 성품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이와 같은 음악의 구성요소들을 교육적 차원에서 장려하거나 규제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그래서 그들은 청소년 위해 도리아와 같은 특정한 선법을 권유했고 나아가 음악교육은 체육이나 철학 같은 다른 학문과의 유대적인 관계 속에서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에토스 이론은 그리스 시대 이후 오늘날까지도 인간의 윤리적 힘을 증진시키는 음악의 힘을 부각시킬 때에 자주 등장하는 이론인데, 오늘날 ‘클래식은 마음을 순화시키고 머리를 좋아지게 하지만, 락음악 등의 대중음악은 사람의 정서를 해친다‘는 생각들은 에토스 이론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도리아, 리디아, 프리지아 선법에 관하여]
그리스 선법은 테트라코드에 의해 이뤄진 음계내의 온음과 반음의 특정한 배열에 따라 정해지는데 세 선법의 내용은 아래와 같다.

- 아 래 -

① 도리아 선법
② 리디아 선법

③ 프리지안 선법
 

각 선법의 음들은 절대 음이 아닌 상대 음으로 가수의 음역에 따라 높게, 낮게 음높이를 바꿔 노래하는데, 가수에 따라 음높이를 바꿔 부른 것은 오늘날의 전조(조바꿈)에 해당한다. 위 악보를 보면 음계가 오늘날의 상행구조(올라가는 음계구조)와 달리 하행구조(내려가는 음계구조)로 되어있는데, 이는 당시의 악기들의 음들을 기준해서 그렸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리스 음계에서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 음은 오늘날의 해석으론 가장 낮은 음이 되고 가장 낮은 곳에 위치한 음은 가장 높은 음이 된다.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